배울학 대 메뉴

건설안전기사

/취업성공/연봉상승/노후준비 기술이 기회다!

QUICK MENU

    • 재수강할인
    • 단체수강할인
    • 자격증 가이드
    • 무이자할부
    • 배울학에 바란다
    • 저작권 보호 캠페인
맨위로
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개인정보 보기

합격수기

수험정보/합격수기 합격수기
글 정보
제  목 전기기사 3회 최종합격 수기입니다.
작성자 강*훈 작성일자 2017.11.24

전기자격 전체.png

 

우선 전기기사 합격을 해서 너무 기분이 좋고, 합격수기를 남길 수 있어 기쁩니다.

저는 기계분야 회사에서 5년이 넘는 시간 근무를 했었기 때문에 비전공자나 마찬가지였습니다.

학교는 전자과인 전문대를 나왔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공에 대한 기억이 거의 없네요.

7월 11일 쯤에 수강신청을 해서 교재를 받고 난 후 전기기사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배울학은 비전공자를 배려한 기초강의가 있어 정말 좋았던 것 같습니다. 기초강의로 틀을 잡고 본 강의에 들어 갈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그리고 본 강의로 들어가서 본 강의를 필기하면서 강의를 들었습니다. 하루 평균 8~10강의 정도를 수강하고 필기한 내용을 토대로 복습 한번하고 마무리 했습니다.

글을 잘 쓰는 편이 아니기에 두서 없이 말하는 점 감안하여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필기]

1.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윤석만 교수님)

 > 회로이론은 예전 고등학교 때 물리시간에 배웠던 기억이 조금은 새록새록 났던것 같습니다. 회로이론은 기본적으로 기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공자의 경우 기본이 잘 되어 있으시겠지만 저 같은 경우에는 비전공자나 마찬가지였으므로 기초를 집중해서 들었습니다. 그리고 본 강의를 필기하면서 들으면서 진도를 나가고 너무 외우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이해하려고 노력하며 강의를 들었으며 너무 모르는 내용은 따로 표시를 해두고 넘어갔습니다.

제어공학은 회로이론 마지막에 배운 라플라스함수 및 제어시스템 등으로 수월하게 넘어갔던 것 같습니다. 공부 할 때 제어공학보단 회로이론의 비중을 좀 더 줬습니다. 그리고 처음부터 끝까지 문제를 다 풀어주셔서 좀 더 빨리 머리속으로 들어갔던 것 같습니다. 어느정도 이해하셨다면 문제를 많이 풀어보시길 바랍니다.

 

2. 전기자기학

    (강장규 교수님)

 > 전기자기학은 저에겐 좀 많이 어려웠습니다. 기초강의로 이해하려고 노력 많이 했지만 조금 힘든 과목이었습니다. 벡터까지만 해도 괜찮겠다고 생각했지만 그 이후 정전계, 유전체, 자성체 등 공간을 다루는 과목이었기에 어렵더라구요.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강의를 들었습니다. 이해하려고 노력 많이 했지만, 결과적으론 공식을 많이 외우게 되었습니다. 공식을 많이 외웠더라도 공식에 대입을 하지 못하면 0점이기에 문제도 보면서 대입하는 연습을 많이 했습니다. 3회차 시험까지 시간이 많지 않았기 너무 깊이 들어가지 않고 기초적인 공식 위주로 공부했습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교수님께서 '이건 상식이다'라는 말씀을 많이 해주셔서 머리속에 잘 들어갔던 것 같습니다.

 

3. 전력공학

    (윤석만 교수님)

 > 전력공학 과목은 좀 더 집중적으로 들었습니다. 전기기사 실기 단답형에서 많은 문제가 나온다고 들었기 때문에 복습을 많이 했습니다. 그리고 다른과목 점수를 커버 할 수 있는 과목이라고 생각해서 16~18문제를 목표로 하고 공부했습니다. 전력공학은 계통의 흐름 위주로 공부하시고 실기에는 외워야되는 내용이 많지만 필기 때는 외우기보단 머리속에 간직한다?라는 식으로 공부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문제를 보고 바로 떠오르는게 아니라 문제를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맞는항과 틀린항을 찾을 수 있을 정도면 실기에서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실기와 연관이 많기에 전력공학은 확실하고 집중적으로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4. 전기기기

    (최완호 교수님)

 > 전기기기 과목은 교수님이 정말 재밌게 수업해주신 것 같습니다. 이론적으론 비전공자도 잘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 주셨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문제 계속 풀다 보니까 조금 어렵더라구요. 머리 속엔 떠오르지만 햇갈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직권전동기 분권전동기 등등 뭔진 떠오르는데 정작 계산문제 풀 땐 햇갈리더라구요. 그래서 이론에 좀 더 비중을 두고 공부를 했습니다. 외우기 보단 이해하면서 공부 했고, 공식 같은 경우엔 이해하면서 공부하니까 문제를 봤을 때 공식이 떠오르도록 연습을 많이 했습니다. 그리고 과목 필기한 부분을 여러번 반복해 보면서 마무리 했습니다.

 

5.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강장규 교수님)

 > 전기응용 이론을 들었는 데, 지금까지 수업들어오며 들었던 거의 모든 내용이 나오더라구요. 그냥 전기기사 전체적인 내용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분량은 많은 파트 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출제 비중을 보고 공사재료가 50% 나온다고 해서 공사재료부터 공부하고 전기응용은 전체적으로 마무리한다는 느낌으로 강의를 수강했습니다. 그리고 이론을 반복하기 보단 문제 위주로 많이 풀어봤습니다. 문제위주로 풀다 보니까 반복적으로 나오는 문제가 많이 있더라구요. 이론은 전체적으로 보고 문제 풀기에 비중을 많이 둔 과목이었습니다.

 

6.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황민욱 교수님)

 > 전기기술 및 판단기준 과목은 교수님의 기초이론과 핵심요약 강의를 먼저 수강했습니다. 시험까지 시간이 많지 않아서 핵심요약 강의를 먼저 수강하고 본 강의를 마무리한다는 느낌으로 봤습니다. 그리고 이 과목도마찬가지로 문제위주로 많이 풀었습니다. 문제위주로 풀다보니까 교수님이 핵심요약 해 준 판단기준 조항이 많이 나와서 머리속에 더 잘 들어갔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신출문제도 많이 나오기에 아는 부분은 확실하게 하고 넘어가려고 노력했습니다.

 

[실기]

1. 단답

    (윤석만 교수님)

 > 필기 공부 할 때 배웠던 많은 부분이 나왔고 전력공학에서도 많은 부분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처음 배우는 부분도 많이 있었습니다. 단답형이 문제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기에 단답에 비중을 많이 두고 공부했습니다. 단답형도 강의를 들으며 필기하고 복습하고를 반복했고, 과년도 기출을 풀면서 모르는 단답문제는 따로 노트에 필기해서 오답노트를 만들어 공부했습니다. 필기 공부하면서 배웠던 것도 많아서 어려움은 많이 없었지만, 실기는 필답형이라 글로 많이 쓰면서 외웠습니다. 시험 보기 전엔 꼭 최근 3년이내의 과년도 기출은 꼭 보고 가는 걸 추천드립니다. 문제유형도 알 수 있고, 문제푸는 감각을 익혀 가시면 합격확률이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 수변전

    (강장규 교수님)

 > 수변전 문제는 1~2문제고, 15점 내외로 출제되는 걸 미리 말씀해주셨지만, 실기에선 15점이 정말 큰 점수 이기 때문에, 강의를 듣고 끝낼 순 없었습니다. 수변전 이론 수업을 듣고, 단답형과 일치하는 부분은 확실히 외우고 나머지는 머리속에 떠오르는 정도로만 공부했습니다. 기출 문제를 보니 문제유형이 많이 일치해서 문제위주로 공부하면서 수변전 과목도 마찬가지로 글로 쓰고, 수변전 회로를 그림으로 그리면서 공부했습니다.

 

3. 시퀀스회로 및 PLC회로

     (최완호 교수님)

 > 저에겐 전기기사 실기에서 단답형과 수변전에 비해선 정말 쉽게 배운 과목이었습니다. 그리고 교수님께서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시퀀스회로가 순차제어회로라서 순차적으로 떠올리면서 회로를 이해하고 공부 하니까 잘 이해할 수 있었고, 적용도 잘 할 수 있었습니다. PLC도 마찬가지로 한번 이해하면 다음은 쉽게 넘어갈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끝으로]

두서 없이 말했습니다. 도움이 될 진 모르겠네요. 하지만 비전공자나 전공자분들도 배울학 강의를 들어보시면 좀 더 수월하게 전기기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7월 11일부터 지금까지 공부하면서 힘들기도 했지만 자격증 취득으로 결과를 낼 수 있어 좋았습니다. 전기산업기사가 붙고 전기기사가 떨어질거라 생각했는데 반대로 결과가 나왔네요. 전기공사기사, 전기공사 산업기사도 실기시험을 치뤘지만, 개인 사정으로 공부를 못해서 둘다 불합격이네요. 내년에 나머지 실기불합격한 자격증들 취득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네요.

다른 모든 분들도 할 수 있습니다!

힘내세요!

저도 지식없이 전기기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다. 비록 직장생활하면서 공부한 건 아니지만...

아무튼, 배울학을 듣고 계신 모든 분들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